•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땅울림 (마스크제공)

땅울림 (마스크제공)

17,100 19,000
제조사
기역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1987년 6월항쟁에 가려진 땅의 민주화,
『고창소작답양도투쟁』 그 위대한 항쟁의 기록을 되새기다

1987년은 항쟁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시간이었다. 6월항쟁으로 불리는 민주화를 향한 격변의 시간, 호남 들판에서도 대토지 지주와 소작인들 사이 묵직한 항쟁의 드라마가 있었다. 전북 고창군 심원면과 해리면 농민들이 대토지주 삼양사와 벌인 『소작 짓는 땅 되돌려받기 싸움, 소작답양도투쟁』이다.

해방 전 삼양사가 간척한 땅에 깃들어 소작으로 농사를 짓던 농민들의 땅찾기 대항쟁의 서사가 펼쳐졌다. 대한민국 정부 주도의 토지개혁으로 마땅히 소유권을 이전받았어야 할 땅을, 미간척지라는 이유로 대상에서 제외되어 땅의 주인이 될 기회를 잃고 만다. 재계(대기업 삼양사)와 정계(인촌 김성수), 언론계(동아일보)의 비호 아래, 30년 넘는 세월을 소작농민으로 살아야 했던 600여 농가 농민들이 함성을 지피기 시작한 것이다.

고창소작답양도투쟁은 땅의 민주화를 회복하기 위해 고려대학교 학생, 가톨릭농민회, 기독교농민회, 농민회 들과 힘을 합쳐 땅을 되찾은 승리의 역사이기도 하다. 『땅울림』은, 1985년부터 1987년 9월 11일 합의에 이르기까지 이 일대사건을 주도한 김재만의 가계로부터 시작해 함께 싸운 마을 사람들의 면면이며, 협조했던 사회단체 사이에 벌어진 항쟁의 역사를 소설로 기록한 책이다.

지역에서 삼양염업사 앞 시위와 대동문화제, 서울 삼양사 본사 점거와 서울 거리시위, 참혹한 시너테러의 현장과 농민-지주 사이 대타협(평당 1,881원으로 양도)의 시간까지, 당사자 한사람한사람에 깃들어 맹렬한 속도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간다. 520여 쪽에 달하는 이 방대한 기록과 소설의 저자는, 소작항쟁이 벌어진 핵심마을 궁산에서 태어나 유소년기를 보냈다. 항쟁의 주역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애정어린 시선의 주인공이다. 그도 서울 삼양사 본사점거농성 당시 두차례나 현장을 방문한 기억을 새기고 있다.

잊혀진 역사는 지난 2020년 33년째를 맞아 뜻있는 지역 사람들과 마을사람들이 당시 함께한 학생들을 초대해 조촐한 기념모임을 가지면서 세상에 목소리를 내었다. 그 모임이 몇해를 이어가면서 궁산마을 입구에 기념조형물을 세우며 세계사 유래를 찾기 어려운 『소작농민들의 성공한 대항쟁』을 기리고 있다.

이 책 또한 20여년 긴 취재활동의 결과물이다. 동학의 역사로부터 간척의 역사, 땅의 긴긴 울림을 간직한 시간의 조형이다. 1894년으로부터 앞으로 그보다 더 긴긴 세월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이야기의 거대한 조형물이다.

목차

펴내는글 …… 005

운명의 씨앗

― 엄마의 환호 …… 014
― 저수지 축조 반대 …… 024
― 서막 …… 033
― 발버둥 …… 043
― 지렁이도 꿈틀 …… 052

소작농

― 첫 사람들 …… 061
― 일본기업 주식회사 해원 …… 075
― 해리농장 …… 084
― 삼영염업사 …… 093

김재만

― 가난 대물림 …… 103
― 형제 사촌 …… 112
― 운명 출사표 …… 122
― 길동무 이성규 …… 132

양도투쟁

― 잊혀진 함성 …… 144
― 피맺힌 한 …… 154
― 가톨릭농민회 …… 164
― 삼영사 소작답 양도 추진위원회 구성 …… 173
― 고령대학교 농촌봉사활동 …… 182
― 토지 인도 소송 …… 192
― 고창군농민대회 …… 201
― 서울 상경을 위한 마지막 회의 …… 209

서울 상경

― 1일차(8월 12일), 30인의 선발대 …… 220
― 2일차(8월 13일), 지주와 1차 면담 …… 231
― 3일차(8월 14일), 서울대학교 민족통일 염원제 참가 …… 241
― 4일차(8월 15일), 서울농성장 총회 …… 250
― 5일차(8월 16일), 대학로 경찰과 충돌 …… 257
― 6~7일차(8월17~18일), 공개토론회 …… 265
― 8일차(8월 19일), 동사일보 왜곡보도 시정 농성 …… 274

죽음의 문턱

― 9일차(8월 20일), 삼영사 구사대 농민 폭행 …… 283
― 10일차(8월 21일), 3차 협상과 박종철 군 영화 관람 …… 291
― 11일차(8월 22일), 서울 경기지역 가족협의회 …… 298
― 12일차(8월 23일), 허민성 집 앞 집회 …… 307
― 13일차(8월 24일), 잔혹한 구사대 …… 314
― 14일차(8월 25일), 철야농성 …… 322

치열한 수 싸움

― 15~16일차(8월 26~27일), 5차 협상 그리고 단가 ……330
― 17일차(8월 28일), 정부가 나서 관심을 갖다 …… 336
― 18일차(8월 29일), 장대비 농민의 한숨 …… 342
― 19~20일차(8월30~31일), 6차 협상 물러설 수 없는 결정 …… 350
― 21일차(9월 1일), 고령대학교 방화 살인미수 사건 규탄대회 …… 358

분열

― 22~23일차(9월 2~3일), 고령대학교 명예총장실 점거 …… 367
― 24일차(9월 4일), 대한적십자사 허민성 총재 사무실 점거 …… 376
― 25일차(9월 5일), 7차 협상 문턱도 못 넘고 결렬 …… 384
― 26일차(9월 6일), 7차 협상 …… 392

마지막 결정

― 27일차(9월 7일), 8차 협상 그리고 약정체결 …… 401
― 28일차(9월 8일), 밀실협상 …… 408
― 29일차(9월 9일), 9차 협상 …… 415
― 30일차(9월 10일), 눈물 젖은 합의 서명 …… 424
― 31일차(9월 11일), 007서류가방 ……432
― 32일차(9월 12일), 귀향 …… 440

새로운 세상

― 삼영사 소작답 양도 추진위원회 한국일보에 사과문 게재 …… 450
― 약정서와 합의서 무효화를 위한 소작료 불납 결의 …… 459
― 50년 한을 풀어내다 …… 466
― 새로운 시작 …… 475

에필로그

― 명예 회복을 위한 전주곡 …… 485
― 농민주권 농촌민주화 동학혁명의 완성 …… 493
― 꿈이 있는 사람들 …… 503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펴내는 글]

함께 일어나 땅의 주인이 되다

땅 짚고 서고, 살고, 그 땅에서 씨앗을 뿌리고 부모 처 자식까지 먹고 살기 위해 대를 이어 경작해오면서도 그러나 땅의 주인이 따로 있었다. 소작농이 운명인 줄만 알고 살았던 사람들이 금평평야의 삼양사 소작농이었다. 나라를 잃었던 백성들이 나라를 되찾는 광복을 맞았다. 토지개혁이 단행되어 농사꾼이 직접 자기 땅에서 농사를 짓게 되었다. 그러나 지주는 토지개혁에서도 빠져나갔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의 36만 원(당시 비행기 8대 가격) 거금을 지원받아 간척하여 소작료를 받았고, 몇백 배 이익도 모자라 민주화운동의 결실인 6·29선언이 되었을 때도 끄덕없이 하늘의 뜻을 거역했다.

김재만 선생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어린 나이에 소작답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다. 중학교 입학을 못 한 것도 소작료 때문에 부모가 돈이 없어서였다고 생각했다. 소작답에 대해 농림부에 진정서를 냈고, 답변서를 가지고 집으로 찾아온 삼양염업사 직원이 무서워 산으로 도망쳤다. “소작답을 짓지 않으면 소작농이 되지 않는다”는 마음으로 농사일을 포기하고 저수지에서 고기잡이를 했다. 고창군청에도 지속적으로 소작답에 대한 문제 제기를 했고, 국회의원이 못한 일을 일개 촌부가 해결하겠다고 하니, 어디에서도 어느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농민들도 아예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김재만 선생은 대한민국 사회에 소작농이 존재한다는 것이 부끄러웠고, 하늘의 뜻도 아니라고 동네 이성규 친구와 소작답 해결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소작료 거부 투쟁을 주도하며 소작농들을 설득해 나갔다.

1987년 민주화운동이 들불처럼 전국에서 일어났고, 농가에서도 소작료 거부 운동에 동참했다. 고려대학교 문과대 학생들이 해리면·심원면 마을에 농촌봉사활동을 오면서 체계적인 소작답 양도 투쟁 교육을 시켰다. 고창군농민회에서도 힘을 보탰고, 초청인사 강의와 민중궐기대회를 고창읍 거리에서 진행하며 홍보를 전개했다. 궁산마을 수문 앞 제방에서 소작농 150여 명이 1차궐기 대회를 가졌고, 소작농 300농가와 학생 1천여 명, 총1,500여 명이 동호해수욕장에 한데 모여 농활 해단식을 성대하게 가졌다. 본격적으로 소작답 무상양도 투쟁을 시작했다. 소작료 거부 농민들이 정읍법정에 서는 날을 서울 상경 일자로 잡고 상경 투쟁을 시작하여 온갖 고통과 시련을 이겨냈고, 쟁취했다.

고창군 해리면·심원면 농민들의 소작답 양도투쟁기를 소설로 정리했다. 600여 농가는 소작농이란 딱지를 뗐고, 그의 자식들, 부모님들까지 땅의 주인으로 살 수 있었다. 매년 소작료 내던 것을 내지 않아 자식들을 원하는 대로 공부시킬 수 있었고, 소리소문없이 부자가 되었다.

전문 작가 아닌 새내기가 소설로 소작답 양도 투쟁의 역사를 쓰게 되었다. 특히 김재만 선생 살아생전에 공적을 소설로 쓸 수 있어 기쁘고, 역사에 참여했던 600여 소작농가와 모든 분의 행적을 담아낼 수 있어 영광이다. 땅의 주인이 되게 해준 은혜에 보답하는 책이다.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땅울림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라남근 ,기역
크기/전자책용량
153*225*35mm
쪽수
512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9-11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