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서포집·서포만필 - 전2권 (마스크제공)

서포집·서포만필 - 전2권 (마스크제공)

360,000 400,000
제조사
한국학자료원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조선 후기의 학자, 김만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2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목차

1권 - 서포집
2권 - 서포만필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서포집 (西浦集)

조선 후기의 학자, 김만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2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하 10권 2책. 목판본. 아들 진화(鎭華)가 1702년(숙종 28)에 편집, 간행하였다.

『서포집』 권두에 김창흡(金昌翕)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오언고시 34편, 권2는 칠언고시 27편, 권3은 오언율시 59편, 권4는 칠언율시 57편, 권5는 오언절구 11편, 권6은 칠언절구 42편, 권7은 소(疏) 15편, 권8은 소 17편, 차(箚) 1편, 계(啓) 2편, 권9는 제문 11편, 악장 1편, 비답(批答) 5편, 교서(敎書) 1편, 옥책문(玉冊文) 1편, 표전(表箋) 5편, 서(序) 2편, 발(跋) 1편, 기 1편, 지(識) 1편, 권10은 선비정경부인행장(先?貞敬夫人行狀)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만중의 초기 시작품은 대략 인경왕후(仁敬王后) 초기에 지어진 것이다. 궁궐 안의 비빈(妃嬪)·궁녀들의 화려한 영총(榮寵)을 노래한 것이 많아 특이하다. 후기작은 거의가 애상적인 경향을 많이 띠고 있다. 그의 만년의 서새남장(西塞南杖)과 모부인 윤씨에 대한 불효의 가책 등의 쓰라린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김만중의 시에는 「직녀수독거(織女愁獨居)」·「연연편(燕燕篇)」·「동작기(銅雀妓)」·「월녀행(越女行)」·「왕소군(王昭君)」 등 미인에 대한 영탄이 많다. 소설 「구운몽」에서의 갖가지 미인상과 연관지어 흥미를 끈다. 귀양지에서 지은 「기사구월이십오일작(己巳九月二十五日作)」·「칠월이십오일적중작(七月二十五日謫中作)」 등의 사친시(思親詩)에는 모부인 윤씨에 대한 애절한 효심이 잘 나타나 있다.

『서포집』 권10의 「선비정경부인행장」에서는 어머니의 뛰어난 현덕을 일자일획의 꾸밈 없이 잘 묘사하고 있어 「구운몽」의 후서(後敍)라 이를 만하다. 1971년 통문관에서 『서포만필』과 합본하여 영인하고 출판하였다.

서포만필 (西浦漫筆)

조선후기 문신 김만중이 저술한 시화 · 수필에 관한 평론집. 시화평론집. 내용 중에서 ‘여재서새시(余在西塞時)’라는 대목으로 보면 1687년(숙종 13) 선천(宣川)주1 유배 이후인 말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권두에 김춘택(金春澤)의 서문이 있다. 2권 1책. 필사본. 『서포만필』의 이본은 현재 등사본으로 문림사본(文林社本) · 고려대학교 도서관본이 있고, 수사본(手寫本)으로 조윤제(趙潤濟) · 이가원(李家源) · 임창순(任昌淳)본과 국립중앙도서관본 등이 있다.

1971년 통문관에서 『서포집(西浦集)』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하였다. 1987년 홍인표가 역주서를 일지사에서 냈고, 이후 2010년 심경호가 문학동네에서 역주서를 냈다. 권1인 상권에 104조, 하권에 161조 등이 실려 있다. 여러 이본들이 전하나, 내용은 거의 같다. 내용의 대부분은 우리나라 시에 관한 시화(詩話)로 이루어져 있다. 또 소설이나 산문에 관계되는 것도 섞여 있어 수필 · 평론으로 다루어야 할 것도 있다. 『서포만필』에는 작자 김만중의 사상적 편력과 박학한 지식을 알려주는 여러 가지 기사들도 엿보인다. 불가(佛家) · 유가(儒家) · 도가(道家) · 산수(算數) · 율려(律呂)주2 · 천문(天文) · 지리(地理) 등의 구류(九流)의 학에 대한 견해가 점철되어 있다.

이 책에는 불가에 대한 작자의 긍정적 시각이 여러 번 나타난다. 이 때문에 진작부터 판본으로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의 형태를 유지하여 전해지게 된 것 같다. 『서포만필』은 문학관의 측면에서 보면 한 · 중 문체의 비교, 통속소설관, 번역문학관, 조선조 시가관 그리고 국어관의 확립을 통한 소위 ‘국민문학론’ 등 김만중의 선각적 이론을 모두 담아내고 있다. 특히 여항(閭巷)의 나무하는 아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이 서로 주고받는 것이 비록 쌍스럽다 하지만, 그 참값을 논한다면 사대부들의 시부(詩賦)보다 낫다고 한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사대부들의 시문이 중국 한자로 이루어져 있기에 이를 앵무새의 노래와 같다 하여, 조선 사람은 조선의 말로 글을 써야 한다는 높은 국민문학론을 제창하였다. 『서포만필』은 김만중의 진솔한 문학관 · 불교관 · 유교관 · 도교관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김만중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라 하겠다.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서포집·서포만필 - 전2권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김만중 ,한국학자료원
크기/전자책용량
188*260*35mm
쪽수
660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5-10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