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8 (마스크제공)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8 (마스크제공)

21,600 24,000
제조사
도서출판선인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이 책은 1937년부터 해방까지의 강원·경상·황해 지역을 시공간적 대상으로 한다. 전쟁 시기로 들어서면서 사회경제적 변화가 직접적으로 지역민에게 끼친 영향이 회의록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 시기는 조선공업화정책이 전개되면서 각 도시가 공업도시, 산업도시를 경쟁적으로 지향하고 영역 확장에 몰두하던 때다. 부와 읍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공동의 수요에 응하는 여러 시설의 확충이 모색되고 이에 따라 재정이 팽창했다. 이 시기 각 부와 읍은 경쟁적으로 방대한 예산을 편성하고 다액의 기채사업을 계획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판이 부산부회 회의록(1937년 3월 22일)에서 보인다.

읍은 부 승격을 목표로 하여 구역 확장을 추진하였는데, 1939년 통영읍에 산양면의 일부 구역이 편입될 때 통영읍과 산양면 사이의 태합굴 굴착을 둘러싼 공사비의 조정을 둘러싸고 여러 논의가 진행되는 것을 통영읍회 회의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1939년 11월 20일). 도시 발전이라는 대전제하에 행정 구역 확장과 예산 팽창은 당연한 것으로 추진되었으나 그 이면에 있었던 지역민 부담 증가의 실상을 이 시기 회의록을 통해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Ⅰ. 도회 회의록

1. 강원도회 회의록
1) 제6회 강원도회 회의록 발췌(제7일, 1937년 3월 5일)
2) 제7회 강원도회 회의록(1937년 8월 10일)

2. 황해도회 회의록
1) 제6회 황해도회 회의록(1937년 9월 29일)

Ⅱ. 부회 회의록

1. 대구부회 회의록
1) 대구부회 회의록 초본(1937년 3월 30일)
2) 대구부회 회의록 초본(1937년 7월 17일)
3) 대구부회 회의록 등본(1938년 12월 3일)
4) 대구부회 회의록 초본(제8일, 1939년 3월 29일)
5) 대구부회 회의록(제3일, 1940년 3월 19일)
6) 대구부회 회의록 초본(제3일, 1941년 3월 25일)

2. 부산부회 회의록
1) 부산부회 회의록(제1차, 1937년 3월 22일)

Ⅲ. 읍회 회의록

1. 강릉읍회 회의록
1) 강릉읍 제17회 읍회 의사록(제1일, 1938년 3월 25일)

2. 거창읍회 회의록
1) 제7회 거창읍회 회의록(1938년 3월 23일)

3. 원주읍회 회의록
1) 원주읍 제3회 읍회 회의록(제1일, 1938년 3월 22일)

4. 진주읍회 회의록
1) 진주읍 회의록(1938년 6월 9일)

5. 통영읍회 회의록
1) 제46회 통영읍회 회의록(제1일, 1938년 3월 23일)
2) 제46회 통영읍회 회의록(제2일, 1938년 3월 24일)
3) 제46회 통영읍회 회의록(제3일, 1938년 3월 25일)
4) 제54회 통영읍회 회의록(1939년 6월 6일)
5) 제57회 통영읍회 회의록(1939년 11월 20일)
6) 제58회 통영읍회 회의록(제1일, 1940년 3월 25일)
7) 제58회 통영읍회 회의록(제2일, 1940년 3월 26일)
8) 제60회 통영읍회 회의록(제1일, 1940년 7월 23일)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지방의회 회의록은 지방행정 실태와 지역 권력 구조의 실상을 밝히는 데 필수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산업·경제, 문화, 환경, 관습, 제도, 지역민의 욕구, 취향 등 지역민의 생활과 직결된 다양한 영역이 총체적으로 동원된 네트워크였다. 지방의회는 그 지역의 역사적 고유성과 차별성이 빚어낸 집단적 사고방식, 생활습관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운영되었는데, 지역의 역동성을 가장 실체적으로 드러내는 자료는 지방의회 회의록이다.

본 연구팀은 국가기록원 문서군에 흩어져있는 지방의회 회의록 약 5천 건을 추출하여 연도별, 지역별, 행정단위별 등 여러 범주에 따라 분류 가능하도록 체계화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던 지방의회 회의록을 종합하여,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사회운동·일상 등 모든 분야에 걸친 식민지 사회 연구의 토대 조성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시기는 일제 통치방식의 변화가 지방의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1920년대(1기), 1930~1937년 중일전쟁 이전까지(2기), 1937~ 1945년 해방까지(3기)의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1시기는 1920년 부제와 면제시행규칙 등 지방제도가 개정된 후 도평의회가 설치되고 부협의회와 면협의회 선거를 실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2시기는 1930년 개정된 지방제도로 도평의회가 도회로 개정되고 부회와 읍회가 자문기관이 아닌 의결기관이 된 시기이다. 3시기는 중일전쟁 이후 사회 각 전반에서 통제정책이 시행되고 지역 사회의 공론장이 위축되며 지방 참정권이 극도로 제한된 시기를 포괄한다. 총 9권으로 이루어진 이 총서의 1~3권은 1시기에 해당하며, 4~6권은 2시기, 7~9권은 3시기에 해당한다.

이 총서는 연구팀이 수행한 번역과 해제를 선별하여 경기·함경, 강원·경상·황해, 전라·충청·평안 등 지역별로 나누어 각 권을 배치하였다. 물론 방대한 회의록 중 이 총서가 포괄하는 분량은 매우 적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도·부·읍·면 등 행정단위와 지리적·산업적 특성, 민족적·계층별 분포에 따라 다양한 범주를 설정하여 회의록의 선택과 집중에 힘썼기에, 각 도와 도 사이의 비교나 도의 하위에 포괄되는 여러 행정단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역의 다층적 구조 속에서 ‘근대적’이고 ‘식민주의적’인 요소가 동시대에 어떻게 병존하는지, 그 관계성의 양상이 지역의 역사지리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전승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총서뿐 아니라 지방의회 회의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성과는 앞으로 식민지시기에 대해 보다 폭넓고 심도깊은 연구를 추동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발간사 중-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8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김윤정 ,도서출판선인
크기/전자책용량
152*225*20mm
쪽수
264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3-31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