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 (마스크제공)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 (마스크제공)

27,900 31,000
제조사
소명출판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이 책은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의 상호작용을 문화, 로컬, 모빌리티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룬 연구서이다. 이 책은 해양관광과 축제, 지역사회의 가치 체계, 이동성과 기술 혁신 등을 통해 글로벌리즘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지역과 국제 사회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가 지닌 특징을 알고, 미래에 대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제1부 컬처(Culture)

공미희 해양 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 방안-기장멸치축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기장 해양 관광축제의 특성
3. 기장멸치축제와 지역 사회의 실태
4. 기장멸치축제의 활성화 및 글로벌 연계 발전 방안
5. 나가며

다다 오사무 이미지로서의 일본과 오키나와-글로벌시대의 이동과 관광
1. 역사·아트·콘텐츠로 장소에 가치를 매김-사례와 현상
2. 하와이와 미야자키를 계승한 오키나와 이미지
3. 해양박람회 오키나와 변용
4. 나가며-이미지와 상징자본

이상원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의 관광도시 전환을 위한 설계와 실천
1. 들어가며
2. 일본의 구(舊) 4군항 설치와 군항도시 사세보
3. 하우스텐보스(Huis Ten Bosch)의 설립 과정
4. 나가며

엄지 해역도시의 관광 전략화-타이베이 문화창의원구(臺北文化創意園區) 운영과 관광지 언어서비스 제공 사례를 바탕으로
1. 들어가며
2. 대만 관광업의 현재와 타이베이 문화창의원구 운영 사례
3. 타이베이 관광지 언어서비스 제공 사례
4. 해역도시 타이베이의 관광 전략화
5. 나가며

제2부 로컬(Local)

문혜진 근현대 가덕도 마을어장의 변천사-부산신항 영향 관계를 포함하여
1. 들어가며
2. 가덕도 어촌 공유재의 변천사
3. 해방 후 가덕도 공유재의 분쟁과 쇠퇴
4. 나가며

후쿠모토 다쿠 오사카를 통해 본 한·일의 글로컬한 역사-이쿠노(生野) 코리아타운을 생각하다
1. 집주 지구의 문화적 다이내믹스와 그 기반
2. 오사카에서의 조선인 증가와 집주 지구의 변천-제2차 세계대전 전후
3.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집주 지구
4. 코리아타운 창설 이후
5. 나가며

저우원팅·류윈강 중국 대도시의 외국인 집단 거주지 형성 메커니즘-베이징·상하이·광저우 비교 연구
1. 들어가며
2. 연구 관점 및 연구 방법
3. 중국 내 외국인의 도시 선택 선호도
4. 대표적 외국인 집단 거주지역 3곳의 사례분석
5. 고찰 및 논의
6. 향후 연구 전망

최민경 한일 연근해 어업에서의 이주 노동자 수용 제도 비교-장기 고용으로의 변화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의 제도적 전개와 특징
4. 일본의 제도적 전개와 특징
5. 나가며

제3부 모빌리티(Mobility)

서광덕 동북아해역도시의 변화를 통해 보는 세계화
1. 들어가며
2. 본론
3. 나가며

이호상 국제공항 건설이 지역에 미친 영향-일본 간사이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공항 건설과 지역 개발
3. 일본 간사이국제공항 건설이 지역에 미친 영향
4. 인천국제공항 건설이 지역이 미친 영향
5. 가덕도신공항 주변지역 개발을 위한 제언

우양호 해양 관광 블루투어리즘을 위한 연안크루즈 활성화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와 개념의 고찰
3. 연안크루즈 해양 관광의 상황과 여건
4. 연안크루즈 블루투어리즘의 구상과 가능성
5. 나가며

남종석 동북아 흐름의 경제와 가덕도신공항
1. 들어가며
2. 여객수요를 통해본 신공항
3. 동북아 물류플랫폼과 신공항
4. 나가며-동남권 메가시티와 신공항

초출일람
필자 소개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은 새로운 해역인문학연구총서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컬처·로컬·모빌리티』를 발간하였다. 이 총서는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의 상호작용을, 문화(Culture), 로컬(Local), 모빌리티((Mobility)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총 12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이 책은 컬처 부문에서는 해양관광을 통한 문화 융합과 지역 경제 활성화, 로컬 부문에서는 지역사회의 가치 체계 간의 갈등과 조화,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이동성과 기술 혁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조명한다.

특히 제1부 문화(Culture)에서는 해양관광과 축제를 통해 동북아해역의 다양한 문화가 어떻게 융합되고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공미희는 해양관광축제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전통 문화와 특산물을 널리 알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고 강조했고, 또 이를 통해 지역의 전통과 현대적 요소가 융합되며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다고 덧붙였다. 또한, 다다 오사무는 일본 문화의 글로벌한 관심과 가치를 현지의 장소로 끌어들이는 추세를 탐구하며, 문화의 주관적 이미지와 객관적 현실의 결합을 통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다.

제2부 로컬(Local)에서는 지역사회의 가치 체계 간의 갈등과 조화, 그리고 글로벌 경제와의 상호작용 및 다문화가 현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탐구한다. 문혜진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도시개발과 공공개발이 지역사회의 생존권과 소유권에 대해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저우원팅과 류윈강은 중국의 대표적인 외국인 거주 지역인 베이징의 왕징, 상하이의 구베이, 광저우의 샤오베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이민자 집단의 도시 선택 선호도와 상호작용 관계를 탐색한다.

제3부 모빌리티((Mobility)에서는 동북아해역에서의 이동성과 기술 혁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조명한다. 서광덕은 전 세계적인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산의 신공항 건설과 엑스포 유치, 부울경메가시티 구상 등이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임을 분석한다. 또한, 우양호는 연안크루즈가 부산의 대표적인 해양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연안크루즈를 통한 해양 관광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 책은 동북아해역에서의 문화, 로컬, 모빌리티의 역동성을 통해 글로벌리즘의 새롭고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지역과 국제 사회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의 상호작용이 인간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도전과 기회를 제공함을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이를 통해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고 미래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은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가 지닌 특징을 알고, 동북아해역에서의 글로벌리즘으로 지역적 및 국제적 상황을 이해하여 함께 새로운 시대를 향해 전진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동북아해역과 글로벌리즘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공미희, 다다 오사무, 이상원, 엄지, 문혜진, 후쿠모토 다쿠, 저우원팅, 류윈강, 최민경, 서광덕, 이호상, 우양호, 남종석 ,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소명출판
크기/전자책용량
152*223*24mm
쪽수
399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3-31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