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밥벌이는 왜 고단한가? (마스크제공)

밥벌이는 왜 고단한가? (마스크제공)

18,000 20,000
제조사
이데아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일과 노동이 그저 괴롭기만 한 이유
‘내가 하는 일이 과연 가치가 있을까?’라는 근원적 물음에 관한 철학적 답변

고대의 ‘형벌’에서 중세의 ‘구원’, 현대의 ‘소외’까지 노동의 역사적 변천 짚어
기술혁신, 노동에 대한 멸시 등 현 상황을 객관화하고 현재적 의미 물어

고대 세계에서 노동은 신이 내린 형벌이었으며, 그리스에서는 ‘노동’과 ‘일’이 단지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행위였을 뿐 가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노동에 대한 경시는 중세를 거치며 점차 완화되었지만, 신체를 사용하는 노동이 괴롭고 피하고 싶은 것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노동은 고단하며, 많은 사람들이 ‘내가 하는 일이 과연 가치 있을까?’ 반문하고는 한다. 이 책은 인류의 탄생부터 AI 시대까지 아리스토텔레스, 루터, 칼뱅, 애덤 스미스, 루소, 칸트, 헤겔, 마르크스, 니체, 하이데거, 한나 아렌트, 시몬 베유, 이반 일리치 등 철학자들의 생각을 통해 ‘노동의 고통’의 이유를 묻는다.

목차

서문: 일이라는 행위의 분류에 관하여

1장 인간의 원초적 노동
원초적 노동_루소의 ‘자연인’ | 구석기시대의 노동과 예술 | 신석기시대의 노동

2장 고대의 노동관
고대의 사회구조 | 고대 그리스의 행위와 노동 | 히브리 사회와 노동_성서와 노동

3장 중세의 노동관
수도원과 노동 | 새로운 전개

4장 종교개혁과 노동 근대에 일어난 노동관의 변혁①
도입: 근대 노동 사상의 여러 측면 | 종교개혁과 노동 | 노동의 성화 | 노동 주체의 구축

5장 경제학의 탄생 근대에 일어난 노동관의 변혁②
중상주의와 중농주의의 노동론 | 애덤 스미스의 등장

6장 근대 철학 속의 노동
홉스의 첫걸음 | 로크의 공헌_노동이 만들어낸 소유 | 흄이 불러온 변화_‘묵약’을 통한 사회의 형성 | 루소의 노동론_노동이 낳은 불평등과 법·사회의 관계 | 칸트의 노동과 놀이 | 헤겔의 노동론

7장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노동론
노동의 의미 |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_노동과정론 | 노동이 낳는 소외

8장 노동의 기쁨
프랑스혁명과 산업가 계급의 이론 | 오언의 유토피아 | 샤를 푸리에와 노동의 기쁨 | 노동의 기쁨을 말하는 철학

9장 게으름에 대한 찬가와 노동의 비참함
게으름에 대한 찬가 | 시몬 베유의 노동론 | 현대의 노동 시스템과 그 변천

10장 노동론 비판의 여러 관점
니체의 노동 비판 | 프로이트의 응용 | 하이데거의 기술론 | 계몽의 변증법_인간의 내적 자연의 부정 | 생산지상주의의 한계_생산의 거울

11장 세계화 시대의 노동
그림자 노동 | 감정 노동 | AI 시대의 노동

끝마치며
후기를 대신하여

옮긴이 후기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일, 노동, 활동

책은 서두에서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일, 노동, 활동’의 세 개념을 소개한다. 이 세 구분은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인 폴리스의 사회상을 반영하는데, 아렌트에 따르면 ‘노동’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고된 행위이자 개인적 행위로 간주된다. 반면 ‘일’은 개인의 능력을 발휘해 사회에 뭔가(작품과 도구 등)를 남기는 행위로서 반쯤은 공적인 성격을 가진다. ‘활동’은 공적인 장에서 자신의 사상과 행동의 독자성을 발휘하는 행위로서 노동과 일과는 명확히 구별된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노동과 일을 가벼이 여기고 활동은 고귀한 것처럼 간주했지만, 아렌트는 경중을 가리지 않았다.

이를 현재적 의미로 해석하면, “일하면서 우리는 생존을 유지한다는 ‘노동’의 측면을 실현한다. 또 ‘일’을 통해 세상에 어떠한 성과를 남기기도 하며, 타자에게 자신의 힘을 내보이고 타자의 평가를 획득하는 ‘활동’의 측면도 실현한다. 그리고 우리는 ‘노동’과 ‘일’이라는 두 행위를 통해 자아실현의 기쁨을 맛”보기도 한다. 이렇듯 현대를 살아가는 다수는 어떤 식으로든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근대 이후의 자본주의 사회만큼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말라”라는 말이 잘 들어맞는 사회는 없을 것이다. 성년이 되어 독립적으로 생계를 꾸리고자 하는 시점부터 어떤 식으로든 사회 안에서 신체를 사용해 노동하고, 급여나 보수라는 형태로 경제적 대가를 획득할 필요에 직면한다.

노동의 가치

고대 그리스의 자유 시민은 신체를 사용하는 노동은 노예나 직인에게 떠맡긴 채, 폴리스에서의 공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데서 삶의 목적을 찾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듯 인간은 “폴리스적 동물”이며, 폴리스에서 공적 활동에 종사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진가를 발휘하는 길이었다. 그런데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본래 공적 활동이었던 정치조차 보수를 얻기 위한 경제행위라는 측면을 갖는다. 한국의 정치가들처럼 말이다. 막스 베버가 갈파했듯이 오늘날 “정치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직업 정치가는 순수한 ‘봉록자’이거나 유급 ‘관료’”이다. 귀족처럼 노동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 가운데서도 정치가가 등장할 때면 그 정치가는 정치 활동으로 생계 수단을 확보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듯 현대의 모든 활동은 노동이자 일이다.

이처럼 노동 자체에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평판을 얻기 시작했다. 애덤 스미스는 상품의 가치가 기본적으로 인간의 노동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칸트는 노동이 비록 고통스러운 것일지언정 인간이 역사를 추동해나가기 위해서는 불가결하다고 했으며, 헤겔은 인간은 노동을 통해 비로소 인간다운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노동가치설을 명확한 이론으로 확립한 사람은 마르크스였다. 한편 마르크스는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기계에 의해 생산이 조직화됨에 따라,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함에 따라 인간의 노동이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함께 보여주었다. 스스로 혹독한 공장 노동을 경험한 시몬 베유는 노동 과정에서 상급자의 명령에 복종할 수밖에 없는 ‘신체적’ 굴복뿐만이 아니라 상급자의 호의를 사기 위해 ‘정신적’ 굴복도 거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자연 파괴의 일부라는 노동

이렇듯 노동에 가치를 부여하는 한편, 이를 거부하는 입장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책에서는 노동 비판의 관점이 크게 세 가지 성격을 띠고 있다고 전한다. 첫째, 노동이 착취이자 잉여가치의 수탈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비판하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마르크스주의에서 비롯되었으며, 사회주의적 혁명운동에서는 극심한 소외 속에서 인간성을 완전히 박탈당한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을 일으켜 부르주아지를 타파하고 소외 없는 노동을 실현한다는 목표가 수립되었다. 둘째, 노동이라는 행위에 포함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주목하는 관점이 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의 노동은 자연을 가공하는 행위이다. 근대적 기술을 사용하는 노동은 “징발이라는 의미에서 자연을 몰아”대며, 자연은 인간 앞에 세워져야 하는 대상, 인간에게 쓸모를 제공하는 대상이 되었다. 인간의 노동은 본디 인간이 그 일부였던 자연을 인간 앞에 세워 징발하고, 이용하고, 낭비하는 일이 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인간이 자연과 대립하고 자신을 위해 자연을 이용하는 존재가 되었으며 노동은 자연을, 즉 인간이 살아가야 할 터전을 파괴하는 행위로 나아가게 되었다. 살기 위한 노동이 삶 자체를 파괴할 수 있다는 사실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임금 없는 노동과 감정 노동

마지막으로 노동이 인간의 삶 그 자체를 파괴하는 경향에 주목하는 관점이 있다. 예컨대 감정 노동은 인간이 본래 자기 안에 갖고 있던 감정의 작용을 저해하고, 남용하고, 상품화하는 것을 그 본질로 한다. 감정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애써 억누르고, 가면을 씌우고, 다른 사람을 위해 쓰도록 강요받는다. 이로써 인간은 자신의 감정에 상처를 입힌다. 과거에 노동은 인간 활동의 극히 일부를 차지할 뿐이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거의 모든 활동이 노동으로 여겨져, 이전까지는 노동이 아니었던 활동도 노동으로서 보상이 요구된다. 예컨대 이반 일리치는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 노동으로서 남자들의 임금노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노동, 즉 임금 노동을 보완하는 여성의 ‘그림자 노동’을 지적했다. 이렇듯 오늘날 노동은 인간 행위의 한 측면이라기보다는, 인간의 거의 모든 활동에서 찾아볼 수 있는 행위가 되었다. 그리고 노동의 가치와 반反가치는 누구에게나 훤히 드러나 있다. 우리는 제 몸으로 노동의 의미를 살아내지 않으면 안 되는 까닭이다. 이 책을 통해 “노동관의 변천을 더듬어봄으로써 우리는 우리가 처한 상황을 객관화해 바라보고, 노동에서 느끼는 부조리함이나 위화감을 설명할 언어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옮긴이)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밥벌이는 왜 고단한가?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나카야마 겐 , 최연희, 정이찬 ,이데아
크기/전자책용량
140*215*20mm
쪽수
344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11-04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