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정신병의 신화 (마스크제공)

정신병의 신화 (마스크제공)

22,500 25,000
제조사
교양인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대단히 중요하며 진정한 혁명을 알리는 책” - 칼 포퍼

“정신병은 은유다”
정신의학의 성채를 폭파한 문제적 고전!

202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정신병 환자는 2017년 340만 명에서 2022년 465만 명으로 약 37퍼센트 늘어났으며, 우울증 치료를 받는 사람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우울증, 조울증, ADHD, 공황장애, 사이코패스, 게임 중독…… 이제 정신병은 우리 일상을 설명하는 주요한 언어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겪는 갈등과 감정을 포착하는 데 정신의학의 지식과 치료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일상을 침범하는 과잉 의료화와 정신병 환자를 양산하는 정신의학 분류 방식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정신병의 범주는 왜 계속 늘어만 가는가? 정신병 진단을 받은 환자는 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가? 진짜 정신병과 가짜 정신병의 경계는 어떻게 나뉘는가?

반정신의학의 선구자이자 정신의학의 전복자 토머스 사스는 『정신병의 신화』에서 “정신병은 은유”라고 선언하며 자기 분야에 가장 날카로운 비판의 칼을 들이댔다. 사스는 현대 정신의학이 정신병 개념을 이용해 개인의 자유와 존엄을 근본적으로 억압하고 훼손하는 방식을 꿰뚫어봄으로써 정신의학의 토대를 뒤흔들었다. 이 책은 격리, 방치, 잔인한 실험(전기 충격 요법, 전두엽 절제술, 신경 약물 과다 투여 등)으로 점철된 20세기 정신의학의 비인간적 관행을 되돌아보게 하고, 결코 침범할 수 없는 개인의 자율성과 단지 병으로만 치환할 수 없는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게 한다.

목차

50주년 기념판 서문
2판 서문
초판 서문
서론

1편 정신병의 신화

1부 신화의 성장과 구조
1장 샤르코와 히스테리 문제
2장 병과 가짜 병
3장 의료 행위의 사회적 맥락
2부 히스테리: 신화의 전형
4장 브로이어와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
5장 히스테리와 정신신체의학
6장 히스테리와 정신병에 관한 현재의 관점

2편 개인 행위 이론의 토대

3부 행위의 기호학적 분석
7장 언어와 원형 언어
8장 의사소통으로서 히스테리
4부 규칙 따르기 모형
9장 행위와 규칙
10장 도움받음과 도움줌의 윤리
11장 신학, 주술, 히스테리
5부 게임 모형
12장 행위와 게임
13장 게임으로서 히스테리
14장 흉내 내기와 병
15장 정신의학 윤리

결론

에필로그
전체 요약
부록1 정신병은 여전히 신화다
부록2 질병 정의하기
옮긴이 해제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정신병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신병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되는 것이다!”


토머스 사스의 주된 관심은 ‘신경증’ ’정신분열증’ ‘히스테리’ 같은 정신병의 언어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못하는 사람들을 강제 입원과 강제 치료의 대상으로 격하하고, 범죄자들을 심신 미약으로 정당화해 잘못된 행위를 면제해주는 수단으로 오용된다는 것이었다. 사스는 이러한 의료화의 구조를 ‘치료 국가’라는 개념으로 포착해 비판하고, 일평생 정신의학의 지나친 권력 행사를 법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사스의 핵심 사상을 담은 대표작 『정신병의 신화』는 주류 정신의학계에서 ‘불온서적’으로 배척당하기도 했지만, 정신의학의 본질과 그 실천의 사회적·도덕적 의미를 되물은 이 책의 기조는 어빙 고프먼, 미셸 푸코의 사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고, 반정신의학(antipsychiatry), 매드 프라이드(Mad Pride), 폐지주의(abolitionism)의 토대가 되었다.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정신분석을 거부하는
정신의학 패러다임의 혁명적 전환!


20세기는 정신의학의 격변기였다. 생물학과 해부학이 발전하면서 정신병을 뇌 ‘기능’의 이상으로 보는 생물학적 정신의학이 주류를 이루었고 정신과 의사들은 전기 충격 요법(ECT)과 전두엽 절제술(lobotomy)을 비롯한 ‘위험한’ 외과적 처치를 거침없이 시행했다. 한편 독일에서 탄생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미국에서 대유행하며 정신과 의사의 역할을 ‘신경증’ ‘히스테리’ 같은 심리적 원인에서 비롯된 정신 현상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일로 바꾸어 놓았다. 토머스 사스의 『정신병의 신화』는 정신병의 원인을 두고 심리(무의식)를 강조하는 쪽과 신체(뇌)를 강조하는 쪽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치료법이 격돌하던 시기에 탄생했다.

이 책에서 사스는 정신병의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전통적인 병리학적 질병 정의에 의하면 정신병은 성립할 수 없다고 결론짓고, 현대의 정신의학을 연금술, 점성술 같은 유사 과학(pseudo-science)으로 비판한다. 생물학적 정신의학은 인간의 고통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를 결여한 채 생물학적 환원주의에 빠져 있고, 정신분석은 무의식이라는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비과학적 관념에 기대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사스는 언어학, 사회학, 철학의 언어를 빌려 정신의학이 ㄹ정신병이라는 허상에 매달리는 기존의 의료 모형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모형을 따르는 복합적인 인간 행위 이론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신의학의 패러다임 자체에 도전한다.

정신의학의 궤도를 뒤흔든 문제작,
반정신의학의 바이블!


1961년 『정신병의 신화』가 미국에서 출간되자 학계와 시민 사회에서 큰 논란이 일었다. 주류 정신의학계와 보건 당국은 정신의학을 부정하는 사스의 입장에 거세게 반발했고, 사스를 교수직에서 해임하라는 압박을 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정신병의 실체에 관한 논쟁에 불을 붙였으며, 비판적 사회 담론과 운동에 지적인 영감을 주었다. 특히 정신의학의 실천과 권력을 분석한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과 철학자 미셸 푸코의 작업에서 사스의 문제 의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72년 정신병원이 가짜 환자를 구분할 수 있는지 확인한 데이비드 로젠한의 실험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질병이 이미지화되는 방식을 탐구한 수전 손택의 대표작 『은유로서의 질병』(1978년)에서도 동일한 관점을 발견할 수 있다.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반정신의학 운동에서 『정신병의 신화』는 교본이었다. 비록 사스 자신은 반정신의학자로 불리기를 거부했지만, 개인의 삶을 옥죄는 정신의학의 억압적 개입을 철저히 반대한 그의 활동은 정신장애 당사자들이 자체 조직을 구성하고 캠페인을 벌이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 ‘매드 프라이드’로 이어지고 있다. 사스의 반대자들조차 그가 “방치와 잔인함으로 점철된 20세기 정신의학의 관행이 개선되도록 이끌었다”고 인정할 만큼, 사스는 미국 정신 보건 시스템이 환자의 인권과 자율성을 존중하도록 변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한국어판 소개

『정신병의 신화』 원서 초판은 1961년 출간되었고 1974년 개정판이 나왔다. 2010년 출간 50주년을 앞두고 정신병과 정신의학에 관한 현재의 경향과 인식을 되짚어보는 ‘서문’과 ‘부록’이 추가된 기념판이 나왔다. 특히 새로운 서문은 저자가 자신의 책에 쏟아진 여러 비평을 검토하고 답한다는 점에서 이 책의 역사와 의의를 한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 처음 출시되는 이번 한국어판은 30년 가까이 장애 운동과 교육에 힘써 온 윤삼호 활동가가 번역을 맡았으며 한국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명료한 옮긴이 해제가 포함되어 있다.

정신병은 왜 신화인가?

정신병은 신화이자 은유다. 다시 말해 정신병은 개념일 뿐 실체가 아니다. 근대 정신의학은 과학적 방법으로 질병을 확인하는 데서 시작된 게 아니라 새로운 질병 구성 기준을 창조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신체병은 생물학적 이상을 통해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지만 정신병은 그러한 증거가 없으며 인간의 행동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진단된다. 따라서 신체병은 발견되고 증명되었지만 정신병은 발명되고 선언된 것이다.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 비판

사스는 20세기 초 정신의학계를 지배한 프로이트와 브로이어의 『히스테리 연구』(1895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정신병이 발명되는 전형적인 방식을 설명한다. 사스가 보기에 ‘히스테리’의 등장은 신체적 증상을 모방하는 행위(‘가짜 병’)마저 질병의 범주로 포괄하는 정신의학의 팽창주의를 드러낸다. 또 사스는 프로이트와 브로이어가 관찰한 ‘히스테리’ 사례가 대부분 여성의 경험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정신분석이 여성의 낮은 지위와 여성이 겪는 사회적 억압에 대한 인식에 실패함으로써 ‘히스테리’라는 현상의 본질에 다가서지 못했다고 날카롭게 비판한다.

“정신병은 사회문화적 구성물이다”

정신병은 사회문화적 구성물이다. 근대 사회 이전에는 이해할 수 없는 방식의 행동은 영적으로나 도덕적으로 타락했다는 증표였지만, 근대 사회는 문화적 규범, 가치관, 사회적 기대에 따라 ‘비정상적’ 인간 행동을 질병으로 정의했다. 하지만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과학적 기준이나 절차는 없었으며 문화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변해 왔다. 빅토리아 시대 정신 감정사는 당대의 윤리관에 따라 게으른 성인, 자위하는 청소년, 임신한 처녀를 ‘광인’으로 규정했다. 19세기 미국 정신과 의사는 ‘자비로운’ 주인의 품을 떠나 탈출하는 흑인 노예에게 ‘탈출광(drapetomania)’이라는 정신병 꼬리표를 붙였다. 현대의 DSM(정신병 진단 및 통계 편람)은 동성애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정신적 혼란을 정신병(문화고유증후군)으로 분류한 적이 있다. DSM의 최신판 역시 주정뱅이는 알코올 중독, 노름꾼은 도박 중독, 심하게 별난 아이는 ADHD, 부끄러움이 심한 사람은 사회공포증으로 분류한다. 성욕이 부족해도 정신병(흥분이상증, 사정지연증, 발기이상증)이고, 성 정체성 혼란도 정신병(젠더 불쾌감)이다.

사회를 병리화하는 ‘치료 국가’

정신의학은 역사적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수단이었다. 사회 규칙을 따르지 않는 사람에게 정신병 꼬리표를 붙여 기존 질서를 유지하고 ‘정상성’을 보호한 것이다. 사스는 잠재적, 현실적 범죄자를 강압하고 감금하는 데 경찰과 감옥이 아니라 의사와 병원을 활용하고, 형벌이 아니라 치료를 통한 구속과 강제를 정당화하는 정치 질서를 ‘치료 국가(Therapeutic State)’라고 명명한다. 사스에 의하면 치료 국가 체제에서 정신과 의사는 일탈을 질병으로 규정하여 사회적 통제를 유용한 치료법으로 정의하고, 정치인은 위험을 기피하려는 대중의 심리에 영합해 정신과 시설과 교도소는 물론이고 사회 전체의 정신병리화를 합법화한다.

“정신의학의 윤리가 필요하다”

사스는 의사-환자 관계에 내재한 권력 역학과 강압의 가능성을 의식하며 정신의학의 윤리를 철저히 강조했다. 치료 과정에서 당사자(환자)의 적극적 참여, 사전 정보에 의한 동의, 인간적 연민에 기반한 치료 같은 윤리적 원칙의 보장을 제도화할 것을 주창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실천했다. 사스는 또 정신과 의사가 치료 환경에서 내담자의 자율성과 책임을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봤는데, ‘비정상적’ 행동을 기준으로 정신병을 진단하면 그 사람의 모든 행동은 병리화·낙인화되어 질병의 증거로 간주되며, 그의 자유는 제한되고 범죄 행동에 대해서도 책임이 면제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정신병 진단이 개인을 자율적인 행위자가 아니라 무기력한 존재로 만들기 쉽다는 사실을 의사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정신병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학과 과학의 언어만으로는 부족하고 문학의 언어, 철학의 언어, 특히 당사자의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정신병의 신화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토머스 사스 , 윤삼호 ,교양인
크기/전자책용량
140*210*30mm
쪽수
452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11-01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