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소통학 이론의 발전과 연구성과를 하나의 책으로 엮다
매체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이론을 담은 소통학 편람
2015년, 우리글로 쓴 첫 번째 소통학 편람으로서 각 분야에 축적한 이론과 연구성과를 엮어 출간되었던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이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매체기술의 발전, 새로운 문제의식을 담은 연구성과, 새로운 이론들을 반영했다.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 학문의 이론적 발전과 국내외에서 진행된 연구의 체계적 정리가 필요하다는 요구를 반영해 각 분과별로 발전 중인 주요 이론에 대한 저자들의 연구를 정리했다. 저자들의 연구에서의 제안과 과학적 학문으로서 가지는 함의는 커뮤니케이션학의 이론적 지식의 발전에 새로운 기초가 될 것이다. 한국언론학회가 기획한 이 책은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의 현재를 정리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또 하나의 미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5
초판 머리말 8
1장 소통학에서 이론의 발전: 이론의 덕성과 연구의 기여 이준웅 19
1. 소통학에서 이론의 역할 20
2. 좋은 이론이란 어떤 특성을 갖는가? 37
3. 한국 소통 연구의 소통학에 대한 기여 45
2장 소통학 연구의 설계, 측정, 그리고 분석기법 백영민 57
1.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58
2. 측정치 사이의 관계추정 77
3. 소통학 연구방법 전망 91
3장 대인 소통 김대중·심재웅 101
1. 대인 소통의 정의 103
2. 대인 소통 연구의 역사 104
3. 대인 소통 관련 이론 107
4. 대인 소통의 적용 맥락 124
5. 국내 연구 동향 130
6. 결론 133
4장 소집단 소통 강경원 139
1. 소집단 소통이란 무엇인가? 140
2. 소집단 소통 연구의 기원과 역사 141
3. 소집단 주요 관점과 이론 144
4. 소집단 소통 연구방법 155
5. 소집단 소통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 157
6. 소집단 소통과 학계 상황 161
7. 마치며 163
5장 조직 소통 이선경·박종민 169
1. 조직 소통 분야의 기원과 배경 170
2. 조직 소통 연구의 다양한 패러다임 172
3. 조직 소통 연구의 주요 이론과 경향 소개 175
4. 한국 언론학계의 조직 소통 연구 경향 199
5. 맺으면서 202
6장 뉴스 생산과 메시지 임종섭·이정훈 211
1. 뉴스 생산의 개념 213
2. 뉴스 생산의 사회학적 접근 215
3. 뉴스 생산의 정치 소통 접근 216
4. 뉴스 생산의 문화연구적 접근 218
5. 뉴스 생산의 언어 분석학적 접근 219
6. 뉴스 생산의 역사학적 접근 221
7. 뉴스 생산 관련 이론 222
8. 저널리즘의 새로운 지평: 인공지능 기반 저널리즘 226
9. 결론 233
7장 대중매체 효과 안도현 241
1. 매체 이용과 효과의 논리 구조 244
2. 매체 효과 이론 247
3. 떠오르는 매체 효과 연구 267
4. 결어 283
8장 설득적 소통 김현석·정성은 293
1. 설득 소통 연구의 역사적 전개 294
2. 설득 결과: 태도와 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적 모형 294
3. 설득 과정: 수용자의 설득 메시지 처리에 관한 주요 이론적 모형 301
4. 설득 결정 요인 309
5. 맺으며 322
9장 전략 소통: 광고 최세정·송영아 327
1. 학문분야로서의 광고 329
2. 광고이론과 연구의 틀 331
3. 광고 이론과 연구의 동향 333
4. 광고 이론과 연구의 과제와 방향 356
10장 전략 소통: 공중관계 문 빛·이유나 367
1. PR의 정의 369
2. PR학의 주요 관점과 이론 370
3. 결론 및 제언 395
11장 정치 소통 이재국·최지향 401
1. 정치 소통의 정의와 기능 402
2. 미디어와 대중의 정치 소통 404
3. 정치조직의 소통 413
4. 새로운 환경, 오래된 문제 420
12장 건강 소통 백혜진·심민선 429
1. 건강 소통의 역사와 발전: ‘의학의 시대’에서 ‘융합의 시대’로 430
2. 건강 소통 분야의 대표 이론 432
3. 건강 소통 연구 현황 451
4. 건강 소통의 향후 전망과 제언 453
13장 컴퓨터 매개 소통 이두황·서영남 461
1. 초기 CMC 이론의 등장 462
2. CMC 이론의 진화 468
3. CMC와 집단 간 소통 477
4. 결론 481
14장 전산기반 연구방법과 소통 과학의 미래 손동영·송현진 489
1. 전산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영역 및 방법론 492
2. 모형과 데이터, 그리고 측정의 삼중주를 향하여 508
찾아보기 520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소통학의 분야별 대표 이론, 연구결과를 망라하다
소통학의 각 분야를 연구해 온 저자들은 대인 소통, 조직 소통, 뉴스 생산, 대중매체나 광고 등 여러 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며, 그 분야를 대표하는 주요 학파, 이론, 그리고 연구결과를 망라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의 목적과 범위, 주요 개념 및 이론의 표기 등 사안을 놓고 활발하게 토론했으며 주요 개념을 우리말로 적극적으로 번역해서 옮기는 등 실체적인 개선을 이루기도 했다. 저자들은 이번 개정판을 준비하면서 나눈 토론의 경험이 계속 확장하고 공유되고 성숙해서 한국 소통학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토론의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초판을 계승하되 새로운 관점을 담은 개정
10년 가까이 지나 출간되는 개정판인 만큼, 새로운 내용을 반영하는 과정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초판을 보완하는 정도로 개선한 장도 있지만 보완을 넘어 전면 개정하거나 아예 새롭게 장을 마련하기도 했다. 가능하면 초판에 참여한 저자들에 더해 새로운 저자를 초청해서 그와 쌍을 이루어 초판 개정의 범위와 깊이를 상의하도록 요청했다. 2015년 초판의 기획의도를 계승하되 새롭게 참여한 젊은 저자의 관점과 식견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