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동양의 차가 유럽으로 건너가 차문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유럽에서 첫 번째로 차의 나라가 된 네덜란드에 대한 이야기이다. 대항해시대의 개막과 아시아로 향한 네덜란드, 그리고 유럽으로 전해진 커피, 초콜릿, 차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당시 가장 중요한 무역품으로 급부상한 도자기와 차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이어서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차가 유행하는 과정에서 입맛과 생활관습에 맞게 형성된 티타임 문화, 티타임에 사용된 티캐틀과 티포트, 설탕기, 티스푼, 다식접시 등 다구를 주제로 이야기한다. 또한 당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장르화와 정물화 등의 그림으로 낯선 17세기 네덜란드 차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차는 여전히 낯설지만 친숙한 음료이며 글로벌한 상품이다. 18세기에 들어서며 유럽의 차문화는 영국에 의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나, 차가 세계인의 음료로 정착한 저변에는 17세기 네덜란드가 자리하고 있었다. 당시 네덜란드는 동양의 차를 처음으로 자신들의 문화로 만들어 간 시공간이며, 유럽을 새로운 차의 공간으로 확장시킨 가교였던 것이다. 이 책은 동양의 차가 어떻게 유럽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는지, 유럽인들의 삶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등 서양의 차문화 형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대항해시대와 네덜란드의 차
제2장 욕망의 산물, 도자기와 차
네덜란드의 황금시대, 17세기
동서교류의 산물, 도자기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무역품, 차
제3장 회화에 재현된 네덜란드 차문화
17세기, 동양의 차문화, 유럽으로 발신
의약품으로서의 차
차문화의 확산: 신분음료에서 기호음료로
인형의 집과 차문화 공간
제4장 회화에 재현된 다구
티테이블과 보조 테이블, 발난로
티캐틀, 티포트, 찻잔
차통, 설탕기, 향신료통
버림그릇, 다식접시, 티스푼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대항해시대, 동양의 차와 도자기는 어떻게 유럽인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
회화를 통해 살펴보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차문화
유럽이 연 대항해시대는 세계사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왔다. 아시아, 아메리카대륙에서 유럽으로 신기한 물건들이 쏟아져 들어왔고, 17세기에 이르자 초콜릿, 커피, 차, 담배 등 이국의 기호품들이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자극제가 되어 유럽인들의 호기심과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 가운데 동양의 차는 유럽인들에게 신비한 약이자 새로운 즐거움이 되었다.
동인도회사의 무역을 통해 황금시대를 누린 17세기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첫 차문화 소비국으로 차문화 세계화의 첫 시작을 열었다. 도시의 중산층들은 동양의 차에 호감을 가지면서 티타임을 통해 부유함과 이국적 취향을 과시하고자 했다. 또한 티타임이 그들의 생활에 자리하면서 차를 즐기기 위한 다구, 도자기 등에도 매료된 네덜란드인들은 소비를 통해 물질적 풍요로움, 취향, 안목 등을 나타냈다. 차생활은 부유한 도시 중산층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 것이다. 즉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도자기와 차는 문화를 품고 있는 세련된 사치품이자 주요한 문화상품으로, 차와 도자기를 한자리에서 즐기는 티타임은 과시적 소비, 사교, 여가였다.
이 책은 동양의 차가 유럽으로 건너가 차문화를 형성하는 과정과 유럽에서 첫 번째로 차의 나라가 된 네덜란드에 대한 이야기이다. 대항해시대의 개막과 아시아로 향한 네덜란드, 그리고 유럽으로 전해진 커피, 초콜릿, 차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당시 가장 중요한 무역품으로 급부상한 도자기와 차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이어서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차가 유행하는 과정에서 입맛과 생활관습에 맞게 형성된 티타임 문화, 티타임에 사용된 티캐틀과 티포트, 설탕기, 티스푼, 다식접시 등 다구를 주제로 이야기한다. 또한 당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장르화와 정물화 등의 그림으로 낯선 17세기 네덜란드 차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차는 여전히 낯설지만 친숙한 음료이며 글로벌한 상품이다. 18세기에 들어서며 유럽의 차문화는 영국에 의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나, 차가 세계인의 음료로 정착한 저변에는 17세기 네덜란드가 자리하고 있었다. 당시 네덜란드는 동양의 차를 처음으로 자신들의 문화로 만들어 간 시공간이며, 유럽을 새로운 차의 공간으로 확장시킨 가교였던 것이다. 이 책은 동양의 차가 어떻게 유럽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는지, 유럽인들의 삶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등 서양의 차문화 형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