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유한성 이후 (마스크제공)

유한성 이후 (마스크제공)

21,600 24,000
제조사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사변적 실재론,
이제 절대적인 것을 사유할 때가 되었다.”

『유한성 이후: 우연성의 필연성에 관한 시론』는 도서출판b에서 2010년에 완역 출간된 바 있던 퀑탱 메이야수의 Apres la finitude: Essai sur le necessite de la contingence (Editions du Seuil, 2006)의 개정증보판이다. 저자 메이야수는 2012년에 1장의 후반부를 증보하여 재출간하는데, 이번에 새롭게 재출간하는 한국어판은 그 증보된 내용을 모두 반영했다.

이 책에서 메이야수는 데카르트, 칸트, 흄에 대한 비판적 독서를 통해 형이상학적 신과는 다른 절대자, 절대적인 것을 추론해 낸다. 이를 위해 그가 문제 삼는 것은 근현대 철학의 주류, ‘상관주의’다. 대상과 주체 간의 관계에서 주체는 대상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것만을 알 수 있으며, 주체가 인식할 수 없는 것은 그에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즉 주체와 대상 간에는 언제나 ‘상관적’(correlational) 관계가 있음을 주장하는 상관주의는 칸트의 인식론에서 시작해, 하이데거와 니체, 비트겐슈타인을 거치며 철학의 주류가 된다. 알 수 없는 것은 알 수 없다는 상관주의는 결국 상대주의를 낳았으며, 인간의 유한성을 확고하게 함으로써 허무주의로 향할 수밖에 없다. 메이야수는 모든 절대자에 대한 사유를 폐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상관주의’를 비판의 표적으로 삼으면서, 사변적 사유에 의해 절대자에 대한 사유를 회복시키려고 시도한다.

메이야수는 우선 철학사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선조성’이라는 신조어를, 즉 인간이 존재하기 이전의 사실들을 진술하는 과학 담화의 성격을 지시하는 단어를 만들어 낸 후 질문을 던진다. ‘인간적인 것을 비워낸 세계, 사물들, 그리고 현시와 비-상관적인 사건들로 가득 찬 세계의 기술을 허락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존재는 현시에 대한 존재의 선행성을 현시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그는 인간과 인간적 사유가 존재하지 않을 때도 존재하는 것이 실재적이라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지를 묻는다. 이 책의 목적 가운데 하나는 상관주의가 그런 진술들의 객관적 타당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있다. 게다가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면서 상관주의라는 현대의 지배적인 철학이 그토록 오랫동안 선조적 진술의 자명성을 부인해 왔다는 데 놀랄 것이다.

모든 형태의 상관주의는 ‘선조적인 것’의 연대를 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지만 조건을 단다. 그런데 이 조건 자체가 절대자를 인식할 수 없다는 자신의 유한성을 증명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하여 메이야수는 선비판적 독단주의로 다시금 추락하지 않으면서도 절대자를 감당할 수 있는 절대론적 절차를 제시한다. 그것은 ‘비(非)이성’의 원리의 공식화이며, 그 요지는 사유 형식의 사실성 자체를 사실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재는 근거 없이 존재하는 존재자의 우연성을 필연적인 것으로 정립할 때 획득된다. 메이야수의 논증적 절차는 두 개의 존재론적 진술들로 요약된다: ‘필연적 존재자는 불가능하다’, ‘존재자의 우연성은 필연적이다.’ 이 두 테제는 메이야수의 사변적 유물론의 토대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이제 절대자는 사유에 의해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 사변에 의해, 신이나 뛰어난 지성으로부터 빌려온 신비적인 물리적 필연성의 옷을 입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메이야수는 과학의 뒤를 따라붙던 철학의 위상을 전복시키고, 과학의 실효성을 인정하면서 그로부터 절대자에 대한 사변을 시작할 것을 요청한다. 관건은 과학이 철학에게 건네는 다음의 질문을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달려있다. ‘거기에 사유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사유는 실제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사유할 수 있는가? 그러한 사유는 어떻게 재정의되어야 하는가?’ 메이야수 철학의 적극적 소개자이자 프랑스 철학 박사인 정지은은 이번 개정증보판 발간을 위해 2010년의 초판 번역을 전면적으로 손봤다. 현대철학의 가장 강력한 조류가 된 사변적 실재론의 주창자인 메이야수의 주저를 읽음으로써, 우리는 다시금 절대적인 것을 찾으려는 새로운 철학 운동의 맨 앞을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문 - 알랭 바디우

선조성
형이상학, 신앙절대론, 사변
본사실성의 원리
흄의 문제
프톨레마이오스의 복수

저자소개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유한성 이후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퀑탱 메이야수 , 정지은 ,비
크기/전자책용량
130*190*30mm
쪽수
302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6-28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