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남긴 ‘변방고’를 따라
사라진 땅을 찾아 떠나는 여정
기다렸던 오세영 작가의 신작이 출간되었다. 『잃어버린 대지』는 대동여지도로 유명한 지리학자 김정호가 백두산과 주변 지역을 상세히 조사하고 기록한, 그러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 지리지인 대동지지(大東地志) 제26권 ‘변방고(邊防考)’를 추적하며 겪는 흥미진진한 이야기이다.
우연히 미국에서 전해진 “리뷰 오브 코리안 보더(Review of Korean Boader)”란 영문 문서에서 그간 전설처럼 전해지던 ‘변방고(邊防考)’의 실체가 확인되면서 주인공 윤성욱의 여정이 시작된다. 그렇다면 과연 ‘변방고(邊防考)’는 어디에 있을까? 또 어떤 내용이 쓰여 있길래, 왜 사라진 것일까.
잃어버린 물줄기를 찾아서
오세영 작가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역사적 장면과 픽션을 기발한 연결고리로 엮어 단숨에 독자들을 백두산 꼭대기까지 끌어 올린다.
“압록강과 토문강을 두 나라의 국경으로 정한다 서위압록(西爲鴨綠) 동위토문(東爲土門)” - 백두산 정계비 (1712)
토문강이 지금의 두만강과 다른 강이라면? 모든 것은 달라진다. 비문의 토문강이 지금의 두만강과는 다른 강임을 입증해야 한다. 그 물줄기를 찾아야 한다. 그 물줄기를 찾으면 간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가 된다. - 본문 중에서
『잃어버린 대지』는 간도 영유권을 둘러싼 역사적 실제 사건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기록으로 전해지지 않은 부분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메워 역사적 장면 사이사이에 개연성 있는 숨결을 불어넣어 살아있는 현대판 스토리로 풀어낸 역사 팩션[Fact+Fiction=Faction]이다.
역사의 맥락 속에서
현재 간도는 중국의 영토로 인식되고 있지만 오랜 시간 동안 우리의 영토였으며, 여전히 북간도 지역에는 우리 민족이 많이 살고 있다. 간도 영유권을 둘러싼 논란은 조선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소설 『잃어버린 대지』는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간도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새롭게 조명하는 역작으로, 독자들에게 잃어버린 땅 간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묵직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신채호
목차
동쪽에서 온 지리학자
우리 땅을 찾는 사람들
토문강
변방고
낙질
실효적 지배
감계
흑룡회
역사의병
백두산
첩8호
추적
삼지연
심양
위기
대설원
작가의 말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비밀의 책 ‘변방고(邊防考)’
고산자(古山子) 김정호 최후의 저서인 대동지지(大東地志)는 대동여지도와 짝을 이루는 지리지로, 팔도의 산천, 국방, 도로, 역사, 지리가 담긴 조선 인문지리학의 결정판이다. 그 30권 15책 중 제26권 변방고(邊防考)는 특히 백두산과 그 일대의 인문 지리를 상세하게 기록했을 것이라 예상되지만 어떤 연유인지 전하지 않는다. 그 비밀의 책 ‘변방고(邊防考)’를 들고 역사소설의 대가 오세영 작가가 돌아왔다.
지금껏 누구도 닿지 못한 세계
믿고 읽는 작가, 오세영
“역사란 도착지를 목표로 재미란 내비게이션을 소설 속에서 작동시키는 것이죠. 고증은 철저히 해야 하지만 재미를 놓칠 수는 없어요.” - 작가 인터뷰 중
『잃어버린 대지』는 간도 영유권을 둘러싼 격동의 역사에 촘촘한 상상력으로 틈새를 채워 넣어, 외면받던 간도 문제를 현대적이며 매력적인 이야기로 탈바꿈시켰다. 작가의 감각적 구성력과 깊이 있는 역사 탐구가 집약된 이 작품은 독자들을 사라진 역사의 땅 간도로 초대한다.
역사와 장르물, 두 마리의 토끼
역사적인 이야기이지만 그 어디에서도 만난 적 없던 현대적 이야기
실제로 1860년대 초 동북아를 방문했던 독일 지리학자 리히트호펜은 자신의 논문에 ‘동쪽에서 온 지리학자’를 만나 감명을 받았다는 내용을 남겼다. 이런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면서도 탄탄한 소설적 구성을 갖추어 독자들은 읽는 내내 역사의 한 장면과 소설의 한 페이지 그 중간 어디쯤에서 춤을 추게 된다.
소설 『잃어버린 대지』는 백두산과 내몽골 지역을 배경으로 생생하게 그리고 있어 올 로케이션 장르물로서의 매력 또한 놓치지 않는다. 거기에 중국, 북한, 일본 극우세력들과의 추격전까지 보태져 후반부로 갈수록 소설의 재미는 한껏 고조된다. 끝없는 펼쳐진 내몽골의 설원을 질주하며 펼쳐지는 주인공의 자동차 추격전은 액션 영화의 한 장면을 방불케 한다.
“과연 누가 이런 상상을 할 수 있었을까, 너무 놀랍다. 역사소설 읽기야말로 요즘 세대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불러올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 20년 차 국어교사 정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