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학교, 규율 인간을 기획하다 (마스크제공)

학교, 규율 인간을 기획하다 (마스크제공)

25,650 28,500
제조사
학이시습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한국 사회에서 학교교육은 곧 교육이며, 학교의 위기는 곧 교육의 위기다. 하지만 학교를 교육 기관으로만 보는 관습적 시각에서 벗어나 진짜 정체를 파악해야 오래된 위기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다. 저자는 근대사회의 등장과 연결하여 학교의 출현 과정을 교육역사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근대성의 원리와 이를 구현하고 있는 학교의 탄생, 학교의 규율 인간 기획을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미래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를 상상하기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다.

목차

1장 학교, 근대성의 구현체

한국의 근대가 배태한 오늘날의 교육 문제
근대사회가 학교에 주목한 이유
근대적 교육 공간인 학교의 문제를 새롭게 보기
근대적 공간, 시간, 지식의 원리가 기획한 학교
역사사회학적 관점을 적용한 교육사회학 연구
근대사회로의 변혁기와 형성기

2장 근대사회의 이념과 작동 원리

근대적 시간과 공간, 지식
근대와 시간: 시계와 표준 시간의 등장
근대와 공간: 공간의 확장과 균질화
근대와 지식: 과학주의와 지식의 대중화
시간, 공간, 지식의 재구성과 그 의미

3장 근대학교의 출현

시민사회의 성립과 교육의 대중화
시민혁명과 공교육 기획
산업화와 교육에 대한 요구
국민국가의 형성과 국민교육
학교의 제도화와 근대교육 체제
근대교육의 이념적 층위들

4장 근대학교와 시간

산업화와 진보, 발전의 시간관
시간-기계와 산업화
테일러주의, 표준화와 분업화
산업주의와 시간의 의미
산업주의와 학교시간-기계
학교의 시간 분할

5장 근대학교와 공간

근대와 규율주의
근대적 공간의 형성
규율주의와 공간의 의미
규율주의와 학교공간-기계

6장 근대학교와 지식

근대와 과학주의: 문명개화와 과학화
과학주의와 지식의 의미
가정과 양육의 근대화, 과학화
과학주의와 학교지식-기계

7장 근대학교와 시간, 공간, 지식의 구조화

시간과 교육: 삶을 향유하는 인간적인 시간
공간과 교육: 규율과 자율의 공존
지식과 교육: 학습된 나로부터의 탈출  

8장 결론 및 제언

결론
제언

참고 문헌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근대의 발명품, 학교 탄생의 공공연한 비밀

학교의 위기는 곧 교육의 위기인가? 즉, 학교는 곧 교육 공간인가? 이 질문에 답하려면 학교가 근대사회가 기획한 근대적 발명품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근대사회는 존속과 발전을 위해 개인을 일상적 수준에서 근대 주체로 길들이는 과정을 고안했으며 그 핵심 역할을 학교에 부여했다. 이 책은 근대성의 구현체로서 학교가 출현하게 된 사회적 배경, 논리와 그 논리들이 학교에서 구체화되는 과정을 시간, 공간, 지식이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학교의 탄생 배경을 탐색하는 일은 지금, 여기의 학교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학교를 상상하기 위한 노력과 직결된다.

한국 학교교육의 역사사회학적 분석

오늘날 우리 사회의 교육 문제는 오늘의 문제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생겨난 역사적 문제이기도 하다. 저자는 근대적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의 출현에 관한 역사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서구와는 다른 우리나라 근대화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식민지 근대화를 중심으로 근대 기획이 학교공간에서 어떻게 관철, 계승되었는지 살펴본다. 근대적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가 독점적 지위를 누리게 된 과정과 한국의 특수한 근대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근대 국민국가와 공교육의 등장이라는 보편적 맥락과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제도화된 사회화 기관으로서 학교의 등장이라는 특수한 맥락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학교를 이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인공 지능 시대, 학교의 존재 이유를 다시 묻기

근대사회에서는 엄격한 시간관념과 규율을 내면화하고 표준화된 지식을 습득한 근대적 규율 인간이 ‘학교 인간’의 표본이었다. 첨단 인공 지능 시대, 학교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학교가 어떤 인간을 만들어 내길 기대하는가? 다시, 새롭게 물어야 한다. 이 질문은 ‘어떤 사회를 만들어 나가길 원하는가?’라는 질문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챗GPT 시대에 기획된 규율 인간을 양성하는 학교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근대사회가 근대성의 구현체이자 원동력으로서 근대학교를 발명했던 것처럼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 여기에 알맞은 학교를 함께 상상하고 구현해야 한다.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학교, 규율 인간을 기획하다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구수경 ,학이시습
크기/전자책용량
128*188*20mm
쪽수
335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4-30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