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23년 심훈문학상 수상시집!
“독자적인 말하기를 정립하였다” _심훈문학상 심사위원 (김근, 안현미, 허희)
2023년 심훈문학상을 수상한 송용탁 시인의 첫 시집. 시인이자 회화, 아트필름 및 독립영화 작업을 병행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면서도 시 쓰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꾸준히 써내려간 78편이 이번 시집 『세계의 고아』에 수록되어 있다. 제1부 떠난 것들의 초대, 2부 습관성 죽음에 대하여, 3부 타의적 발견으로 구성된 이번 시집에서 송용탁 시인은 고독과 슬픔, 꿈과 몽상이 가득한 시적 모험의 세계를 선사한다. “외로운 질문”에 맞서 “혼자라는 내부를 그려보고 싶었”(「세계의 고아」)던 시인이 세계에 보내는 답장이기도 하다.
송용탁은 타인과 사물과 자신을 낯설게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어떻게 어우러져 범상하지 않은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시로 구현해낸다. 바로 이 점에서 심사위원들은 그의 시가 후보작 가운데 제일 ‘좋은 작품’임에 동의하였다. 이와 같은 판단이 일시적으로만 적용되지 않음을, 송용탁이 이후의 시 쓰기로 꾸준히 증명하기를 기대한다. _김근·안현미 시인, 허희 평론가 (심훈문학상 심사위원)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에는 가족과 연인이 빈번히 등장하지만, 그들이 지금은 여기에 없어 부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거에 한때 존재했거나 미래에 어쩌면 가능할지 모르는 관계들이다. “아빠가 보이지 않”고(「척력」), “몸도 없이 우는 사람”(「맘」)인 엄마 역시 자주 사라지거나 이미 없는 사람이며, 동생은 “태어난 적 없”(「답시」)지만 화자는 그에게 생일을 만들어준다. 화자는 혼자서 “유예된 시간을 모아 몸을 데우고”(「떨켜」) “왜 나는 맨몸으로 살 수 없을까”(「깃의 원정」) 고민하는 사람이다. 그가 타인의 이름을 떠올릴 때마다 점점 더 고독해지고 슬퍼지지만 그래도 그는 “우리는 여기에 있었다”(「피에타」)는 사실을 간직하는 사람이다. 그 사실이 화자를 더욱 고독하게 만든다 할지라도 그것이 그가 갖는 긍지일 것이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떠난 것들의 초대
세계의 고아/ 척력/ 봄잠/ 진찰/ 편도/ 맘/ 피에타/ 사다함―한 번밖에 생을 받지 않은 자/ 결/ 목다보/ 빈산에 편지만 놓고 갔어요/ 바람역/ 야반도주/ 미장센/ 아프락사스/ 사루沙漏/ 호문쿨루스/ 연금술사/ 크로키/ 한견/ 부엔까미노/ 위작/ 포르노/ 내 말들은 너무 완곡적이고―네 몸들은 너무 직설적이야/ 로시난테/ 둘시네아
제2부 습관성 죽음에 대하여
무한의 꽃, 기도, 샤먼들/ 기차가 당신 등 뒤에서 멈췄다/ 모린 톨로가이홀/ 바가모요/ 탈의―의심하지 않고/ 그날 단지 여름만 살았네/ 대성당들의 시대/ 일곱으로 가는 길/ 야수가 깊다/ 핼러윈/ 위리안치/ 피랑/ 있었습니다/ 악보의 입장/ 손가락이 길어지면/ 발단/ 서쪽으로 부르는 노래/ 야간비행/ 구우/ 점의 은유/ 연오랑 유문/ 슈루비 듯디 아니ㅎㆍ여/ 깃의 원정/ 예후/ 직업/ 답시
제3부 타의적 발견
독경/ 투신/ 떨켜/ 낱개/ 반대차선을지나가는엠뷸런스를본순간나는/ Say Yes/ 저 꽃은 무얼 만지다 왔는지/ 앨리스 프로젝트 1―붉게 달궈진 주전자를 상상하세요/ 앨리스 프로젝트 2―냉장고 뒷문을 찾으시오/ 앨리스 프로젝트 3―시간의 부피를 증명하시오/ 앨리스 프로젝트 4―불편한 것은 당신뿐/ 앨리스 프로젝트 5―TV는 사랑을 싣고/ 1인칭의 오류/ 먼먼/ 여수旅愁/ 스모스코/ 초대가 늦어서 미안해―그만하자 말한 후 피우는 담배는 어떤 맛이야/ 미타쿠에 오야신(Mitakuye Oyasin)―안녕이라는 이방인에게/ 뱀을 지켜라/ 블淚투스 1―부재중 전화/ 블淚투스 2―부디/ 씽크 홀―Think hole/ 곶串/ 테라포밍/ 돌입/ 사막 고래
해설 : 타버린 너의 숲을 우리 오래도록_임지훈(문학평론가)
저자소개
출판사리뷰
“세계, 내 언어 속에 서라”_‘시인의 말’에서
“시를 걷는 자는 충분한 비밀을 가지고 있을까”_「위작」에서
“못다 한 말들이 계속 출렁거렸다”_「곶串」에서
많은 시인들이 그런 것처럼 송용탁 역시 끝없이 언어와 삶을 탐구하는 연구자이다. 2022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목다보」에 대해서는 “상상의 폭을 넓게 두면서도 적확한 시어를 찾아내고자 하는 노력, 그리고 이 상상과 언어 속에 삶의 비의와 존재의 근거를 담아내고자 하는 치열함”(심사위원 이영춘·이홍섭 시인)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았다.
「독경」에서는 단단한 세계에 가로막힌 자신의 언어를 가꾸는 숲지기가 등장한다. “그는 계속 자신이 가꾼 언어의 숲이 불타오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거듭 그을린 언어를 건져낼 것임을 안다. 그 자국이 오래도록 우리의 슬픔을 끌어당길 것임을 믿는다. 그리하여 이 모든 세계가 불타오르게 된다 하여도 그것이 단지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믿게 될 때까지. 당신이 계속 탄생할 것을 믿는다.”(임지훈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