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도서
    국내도서
  • 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
  • 새로나온도서
    새로나온도서
  • 추천도서
    추천도서
  • 할인/재정가 도서
    할인/재정가 도서
  • GIFT
    GIFT
  • 생의 철학 (마스크제공)

생의 철학 (마스크제공)

31,500 35,000
제조사
빈서재
원산지
대한민국
배송정보
무료 지역별 추가배송
택배

21615d286a4b23fc9ded08f4bbbe3a95_192355.jpg
 


책소개

메이지 시대가 안정되면서 근대 일본의 자본주의는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동시에 공해와 노동자 탄압이라는 자본주의의 악덕이 사회 전반에 고농도로 펼쳐졌던 것이 바로 20세기 초반의 근대 일본이었다. 그리고 시대의 조류였던 사회주의와 무정부주의, 노동운동 등도 함께 유입, 발달되었다. 오스기 사카에는 이 시기 가장 강렬한 글을 써내던 논객이었다.

이 노동운동가들에게 그나마 조금의 틈을 내어준 것이 다이쇼 데모크라시라는 짧았던 민주주의의 시대였다. 오스기 사카에가 활동한 시기는 바로 이 시기에 걸쳐있다. 그는 잡지에, 단행본에 자신의 글을 끊임없이 썼다. 끊임없이 검열당하고 폐간되었지만 파리, 상하이를 넘나들면서까지 계속 발언했다. 그의 발언은 노동과 사회주의에 국한되지 않았다. 근대 서양 문명을 어떻게 일본인이 받아들여야 하는지 계속 읽어내며 소화해나갔다. 그렇기 때문에 오스기는 노동운동가에 한정되지 않고 생의 투쟁을 고민한 사상가로 받아들여졌다. 학계는 국가·국체를 중심으로 일본의 모든 부분을 재편하려는 시도에 이론을 제공하며 부역했다. 오스기는 학계 밖에서 자유롭게 이 국가·국체의 존재에 대해 되물었다. 일본 제국을 내부에서부터 부숴나가는 기운을 만들고 있었다.

그래서 일본 제국은 먼저 고토쿠 슈스이를 죽였고 이후 오스기 사카에도 죽였다. 그리고 오스기 사후 얼마 뒤 쇼와 천황이 즉위하는데 공교롭게도 이즈음부터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으로 이어지며 일본 제국은 본격적인 전쟁으로 뛰어들게 된다. 일본 제국이 죽인 사회주의자는 일본이라는 나라를 조금이라도 덜 썩게 만들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강렬한 기록을 이 선집에서 읽을 수 있다.

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제 1 장 생과 자아 . . . . . . . . . . . . . . . . . . . . . . 11

1.1 본능과 창조 . . . . . . . . . . . . . . . (1912.10) 11
1.2 노예근성론 . . . . . . . . . . . . . . . (1913.2) 18
1.3 정복의 사실 . . . . . . . . . . . . . . . (1913.6) 25
1.4 생의 확충 . . . . . . . . . . . . . . . . (1913.7) 31
1.5 헛꽃 . . . . . . . . . . . . . . . . . . . (1913.8) 37
1.6 쇠사슬 공장 . . . . . . . . . . . . . . . (1913.9) 38
1.7 생의 창조 . . . . . . . . . . . . . . . . (1914.1) 45
1.8 제정신인 광인 . . . . . . . . . . . . . . (1914.5) 53
1.9 도박본능론 . . . . . . . . . . . . . . . (1914.7) 61
1.10 자아의 탈피 . . . . . . . . . . . . . . . (1915.5) 68

제 2 장 과학 . . . . . . . . . . . . . . . . . . . . . . . . . 71

2.1 근대과학의 경향 . . . . . . . . . . . . . (1912.11) 71
2.2 사색인간 . . . . . . . . . . . . . . . . . (1913.1) 81
2.3 근대 개인주의의 제상 . . . . . . . . . . (1915.11) 85
2.4 생물학에서 본 개성의 완성 . . . . . . . (1919.4) 104

제 3 장 서양사상 . . . . . . . . . . . . . . . . . . . . . . . 121

3.1 창조적 진화 . . . . . . . . . . . . . . . (1913.3) 121
3.2 주관적 역사론 . . . . . . . . . . . . . . (1914.4) 130
3.3 의지의 교육 . . . . . . . . . . . . . . . (1915.11) 142
3.4 베르그송과 소렐 . . . . . . . . . . . . . (1916.1) 151
3.5 인류사에서의 전통주의 . . . . . . . . . (1917.10) 170

제 4 장 전쟁 . . . . . . . . . . . . . . . . . . . . . . . . . 189

4.1 부르주아의 애국심 . . . . . . . . . . . (1914.10) 189
4.2 이른바 신군국주의 . . . . . . . . . . . (1915.10) 194
4.3 이른바 정부적 사상 . . . . . . . . . . . (1915.11) 199
4.4 민족국가의 허위 . . . . . . . . . . . . . (1918.4) 211

제 5 장 민중예술 . . . . . . . . . . . . . . . . . . . . . . . 221

5.1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예술 . . . . (1917.1) 221
5.2 사회문제인가 예술문제인가 . . . . . . (1917.1) 239
5.3 정의를 구하는 마음 . . . . . . . . . . . (1918.1) 244
5.4 나는 정신이 좋다 . . . . . . . . . . . . (1918.2) 250
5.5 민중예술의 기교 . . . . . . . . . . . . . (1918.7) 251
5.6 노동운동과 노동문학 . . . . . . . . . . (1922.9) 256

제 6 장 생디칼리슴 . . . . . . . . . . . . . . . . . . . . . 269

6.1 개인주의자와 정치운동 . . . . . . . . . (1915.4) 269
6.2 노동운동과 프래그머티즘 . . . . . . . . (1915.10) 295
6.3 노동운동과 개인주의 . . . . . . . . . . (1915.12) 304
6.4 철저사회정책 . . . . . . . . . . . . . . (1919.4) 313
6.5 노동운동의 정신 . . . . . . . . . . . . . (1919.10) 316
6.6 지식계급에 고함 . . . . . . . . . . . . . (1920.1) 319
6.7 노동운동의 전환기 . . . . . . . . . . . (1920.4) 322
6.8 사회적 이상론 . . . . . . . . . . . . . . (1920.6) 326
6.9 새로운 질서의 창조 . . . . . . . . . . . (1920.6) 329
6.10 조합운동과 혁명운동 . . . . . . . . . . (1920.6) 335
6.11 왜 진행 중인 혁명을 옹호하지 않는가? . (1922.9) 338

해제?: ‘생명’을 중심으로 한 변혁 구상 . . (김병진) . . 345
1 들어가며 . . . . . . . . . . . . . . . . . . . . . . 345
2 ‘생의 확충’과 실천 . . . . . . . . . . . . . . . . . 349
3 동아시아 네트워크와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 . . 360
4 나가며 . . . . . . . . . . . . . . . . . . . . . . . . 369

역자 후기와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371
역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371
연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4
저술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379
연구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383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9

저자소개


상품필수 정보

도서명
생의 철학 (마스크제공)
저자/출판사
오스기 사카에 , 김병진, 김태진, 서동주, 양지영, 최호영 ,빈서재
크기/전자책용량
0*0*20
쪽수
400쪽
제품 구성
상품상세참조
출간일
2024-03-01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상세참조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